[서울=동북아신문]미신 같은 이야기지만 예전부터 우리는 관습적으로 ‘주택에는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터줏대감이 있어 주택을 지키며 잡귀의 침범이나 재앙을 막아 준다’고 믿었다.
또한 집안에 살고 있는 구렁이, 두꺼비, 족제비 등을 재산을 늘려 주는 업신으로 여겨 해치거나 내쫒지 않았다.
건물이나 주택은 토지에 건축되면서 하나의 유기체적인 존재가 되므로 거주자가 건축물에 자연스럽게 적응하여 생활하게 된다. 따라서 증축이나 개축으로 인해 환경이 변화하는 것은 우려할 만한 일이고, 건물의 구조적 변화에 신중을 기하는 것은 풍수상으로 보아도 당연한 것이다.
주택의 증·개축으로 기존의 환경이 나쁘게 변하여 거주자에 피해를 줄 수 있기에 어느 때보다 많은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이다.
단순히 살던 집이 낡았거나 좁아 생활하기 불편해졌다고 기존 주택의 구조를 단순하게 편리성만 생각하여 전체적으로 뜯어고치면 간단히 끝난다고 생각하겠지만 개보수를 하여 그 동안 그 집에서 이룩해 온 가운이 기울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증·개축으로 인하여 오랫동안 이전의 주택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적응된 거주자가 새로운 자재와 구조적으로 변한 새로운 주택 환경에 적응치 못하여 가족의 신체 리듬이 깨지면서 우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는 영업을 하는 상업용 건물에서도 똑같이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정말 허름하고 보잘것없는 시설과 비위생적인 여건의 음식점이 인근의 최신식 시설로 치장하여 말끔한 음식점보다 장사가 잘되는 경우를 많이 본다.
물론 장사를 한곳에서 오랫동안 하였기에 단골손님도 있지만 아무리 보아도 될성 싶지 않은 장소에서 의외로 손님이 많이 끓는 것은 아이러니컬하기도 하다.
하지만 다 쓰러져 가는 단층 한옥 건물에서 장사를 잘 하다가 갑자기 최신식 고층 빌딩을 지어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려고 건축하였다가 손님이 갑자기 발길을 끊어 파리만 날리고 있는 경우를 많이 본다.
음식 맛이 변한 것도 아닌데 그 동안 들어오던 기운이 건물을 지으면서 사라진 것이다.
이유는 그 동안 편안히 찾아오던 손님들이 이전의 음식점에서 풍기던 정감스럽고 자연스런 기운보다 건물의 신축으로 변해진 새로운 환경에 적응치 못하여 자연적으로 멀어지는 경우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알게 모르게 주거 환경에 적응되었던 것이 건물의 증개축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하여야 한다.
물론 통풍과 채광이 어렵던 구조를 원활하게 만드는 구조가 된다면 반대로 행운을 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살던 집이나 영업점이 그 동안 평안했다면 최소한도로 불편한 부분만을 일부 보수하거나 개축하여 마음에 드는 집으로 바꾸어 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증축을 하지 않고 단순히 내부의 일부만 고치고자 할 때에는 그 부분의 구조만 간단하게 바꾸면 되지만 일단 작업을 시작하고 보면 대부분 대대적인 공사가 되기도 한다.
또한 건물을 부분적으로 수리를 하고 기존 시설을 그대로 쓰고자 할 때에는 기존의 재료와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기존의 건물과 새 건물이 이어지는 부분에는 다용도실이나 창고 용도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어떤 부분을 늘리거나 구조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무조건 고치기보다는 전체적인 요소에서 나쁜 부분만을 보완하면서 전체적인 균형 감각을 고려해 고치거나 증축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 동안 생활했던 곳이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무난하다고 생각되면 증축이나 개축을 할 때 될 수 있는 한 신중을 기해야 한다. 복된 터를 화근의 자리로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c) 평화와 희망을 만들어가는 동북아신문,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