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북아신문]주택의 질은 주거 환경의 쾌적함과 생활의 편리성 여부에 따라 결정되지만, 상업지는 자신이 원하는 업종이 최대의 이윤을 누릴 수 있는 지역을 찾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수익을 발생시키는 상업용 부동산은 위치와 주변 환경에 따라 수익이 천차만별이다.
따라서 상업용 부동산은 입지의 선정과 건물의 구조가 수익성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다.
이러한 상업지의 호 조건은 조금만 살펴보면 생활 풍수 속에서도 찾을 수 있다.
옛말에 장사하는 집은 문턱을 없애라는 말이 있다.
여기서 문턱은 권위 의식을 상징한다. 그러기에 건물의 출입구 계단이 높으면 높을수록 일반인들은 심리적 부담으로 쉽게 접근치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옛날의 궁궐이나 포도청 등을 지을 때 의도적으로 입구에 층층 계단을 만들어 서민이나 하급관리들을 미리 기죽게 만들었다.
요즘 많이 나아졌지만, 아직도 구청이나 경찰서 등 관청의 문턱은 높게만 되어 있다.
그러기에 건물이 상업용 기능을 하려면 될 수 있는 대로 문턱은 낮아야 장사가 잘된다.
일반적으로 장사가 잘 되는 상가를 살펴보면 예외 없이 도로와 상가 입구와의 차이가 별로 없이 문턱을 낮춘 것을 볼 수 있다.
또 상가의 형성에 거리(도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로를 풍수에서 물의 흐름과 같이 보기에, 도로가 커브를 형성한 경우 외곽쪽 보다 내부쪽이 유리하고, 역이나. 정류장을 향한 거리는 우측, 비탈길은 상부와 하부가 상권형성이 먼저 된다.
커브를 형성한 도로의 안쪽이 유리한 이유는 일부러 멀리 돌아가는 외곽 쪽보다 보행 거리가 단축되는 이점 때문이고, 역. 정류장을 향하여 우측이 좋은 이유는 승객들이 하차하여 자연적으로 좌측으로 통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남향 점포보다 북향 점포가 대다수 장사가 잘 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특히 음식점이나 식료품을 취급하거나 의류 등 공산품을 판매하는 점포가 남향으로 되어 있으면, 첫째 거의 하루종일 햇빛에 노출되어 음식물이나 식료품은 쉽게 변질되고, 의류나 공산품은 햇빛에 변색되어 상품 가치가 떨어지며 재산적 손실도 크다.
둘째로 햇볕으로 인해 상품 진열대를 신문지나 보자기로 덮어서 전시효과도 떨어진다.
또한 사람은 직사광선이 쪼이는 곳은 의도적으로 피하게 되어 있어 고객의 접근성도 떨어진다.
이와 반대로 북향의 점포는 변질될 염려도 적어 손해도 적고 진열된 상품이 조명도 잘 받아 전시 효과가 뛰어나기에 수익이 남향보다 대체적으로 좋다.
서로 도와주고 서로 극하는 상생상극의 원칙도 상가에서는 적용된다
대학병원같이 큰 병원 주변에는 식당과 슈퍼, 과일가게 등이 잘되듯이 ,주변에 내가 운영하는 점포에 도움이 될 만한 공공시설이나 대형 건물이 있다면 좋아지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학교 부근의 서점이나, 문방구 분식점도 마찬가지다.
이렇게 직접 관련되는 경우도 있으나,
학원이나 오피스빌딩 인근의 유흥업소가 잘되듯, 어떤 것은 서로가 전혀 관계없는 것 같으면서도 어느 한쪽을 살려주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점포 입지에 나쁜 영향을 주는 주위환경도 있다. 서점을 술집이 많은 지역에 차리려고 한다면 그 서점은 주변 술집들의 환경 때문에 잘될 리가 없듯이 상극되는 것도 있다.
하지만 시장과 같이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곳이라면 그 시장에서 다루는 것이 많을수록 고객 흡인력이 높아지며 그 자체가 상권이 될 수 있기에 다양한 업종이 많이 모일수록 서로가 사는 상생의 효과를 받을 수 있다.
이렇듯 상권이 형성되는 것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마음먹고 있는 업종에 맞는 자리를 구할 수 있고 영업 이후에도 홍보, 고객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저작권자(c) 평화와 희망을 만들어가는 동북아신문(www.dba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