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동북아신문]“선거 국면을 맞이해 중국동포들이 단결, 세력화해서 중국동포들을 위해 노력할 사람에게 투표해야 한다.”“그 동안 정치인들이 중국동포들에게 표나 받기 위해 접근했지, 진정으로 중국동포들의 권익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기위해 방문한 적이 있는가?”
4.11 총선을 맞이해 국내체류 중국동포들의 정치의식 고양을 위해 마련된 제7차 영등포(생활정치)텃밭포럼(회장 김윤섭) 주최 긴급 지역토론은 패널과 청중이 한 데 어우러져 뜨거운 열기를 뿜어냈다.
토론은 3월 31일 이주동포정책연구소(소장 곽재석, 대림동 소재) 회의실에서 영등포 구로지역의 20여개 중국동포단체 및 텃밭포럼 회원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강성봉 재외동포포럼 운영위원장을 좌장으로, 허금화 나뭇잎조학회 이사, 박옥선 한나협회 회장, 김관룡 조선문보 발행인, 김용선 동포타운신문 편집국장, 김윤섭 텃밭포럼 회장을 패널로 해서 진행된 이날 토론은 ‘국내 체류동포가 바라는 4.11 총선’이라는 주제 아래 ▴그 동안의 한국 선거에 대한 중국 동포들의 소감, ▴현재의 재한 중국동포들의 문제 및 과제, ▴한국 거주민들과 중국동포 간 화합방안, ▴4.11 총선 관련 중국동포가 바라는 점 등에 대해 패널에게 질의하는 방식으로 100여분에 걸쳐 진행됐다.
토론에서 나온 논의의 핵심을 주제별로 정리해 싣는다.

노무현 대통령 이후 중국동포들의 선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됐지만 실제 선거에 대한 정보부족으로 참여는 미미했다. 현재 13만으로 추산되는 중국동포 귀화자들이 선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권리증진 및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노력이 이제는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유권자운동이 활성화되고, 중국동포들이 참여하기 쉬운 정치제도가 마련돼야 한다. 중국동포 단체와 동포언론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다.
▴현재의 재한 중국동포들의 문제 및 과제는?
중국동포 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리더가 없다. 어떻게 선거를 해야 하는지를 비롯해 동포사회를 위한 권리와 의무에 대해 교육을 제대로 할 필요가 있으며, 동포사회를 하나로 묶어줄 리더를 육성할 필요가 있다.
▴한국 주민들과 중국동포 간 화합방안은?
중국동포들과 한국인은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차이는 차별의 근거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서로간의 차이를 인정하고 한국문화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는 중국동포 문화를 보존할 수 있는 제도, 이를 테면 재한중국동포를 위한 ‘차이나타운’ 같은 틀을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중국동포들이 선거에 참여해서 중국동포사회를 위해 일할 사람이 당선될 수 있도록 투표권을 잘 행사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중국동포로서 국회의원이 될 만한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
한편 패널로 참가한 영등포 텃밭포럼 김윤섭 회장은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한국 주민과 중국동포 간 대화모임 등 소통채널을 강화하여 지역사회 발전을 꾀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 평화와 희망을 만들어가는 동북아신문(www.dba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